본문 바로가기
IT

[ IT와 인터넷 지식과 상식 시리즈 ⑤편]-DNS의 비밀 – 인터넷 주소의 숨겨진 뒷이야기

by 경제야 살자 2025. 4. 14.
반응형

"도메인 이름의 숨은 구조 – DNS의 원리와 안전한 사용법 완전 해설"
"도메인 이름의 숨은 구조 – DNS의 원리와 안전한 사용법 완전 해설"

"DNS란 무엇인가? 인터넷 주소의 비밀과 보안까지 한눈에 정리"

인터넷을 사용하는 우리에게 ‘주소창에 URL을 입력하면 웹사이트가 뜬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입니다. 하지만 이 단순한 동작 뒤에 어떤 기술이 숨어 있는지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DNS(Domain Name System)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DNS의 원리, 역사, 보안 이슈, 그리고 우리가 DNS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까지 하나하나 짚어보겠습니다.

DNS
DNS


1. DNS란 무엇인가 – '도메인의 전화번호부'
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예: naver.com, google.com)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예: 142.250.206.78)로 바꿔주는 시스템입니다.

쉽게 말해, DNS는 인터넷의 전화번호부입니다. 우리가 ‘Google.com’을 입력하면, DNS는 해당 도메인이 어떤 서버(IP 주소)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찾아주는 중개자의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을 **도메인 이름 해석(Name Resolution)**이라고 부릅니다.

2. DNS의 동작 과정 – 클릭 뒤의 복잡한 여정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할 때 일어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로컬 캐시 확인
먼저, 컴퓨터는 최근에 접근한 사이트 주소와 IP 주소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해둔 로컬 DNS 캐시를 확인합니다. 만약 정보가 있다면 바로 연결됩니다.

재귀적 질의 시작
캐시에 없다면, 컴퓨터는 설정된 DNS 서버(보통 ISP에서 제공)를 통해 IP 주소를 요청합니다.

루트 네임서버 연결
이 DNS 서버도 모르면, 루트 네임서버(Root Name Server)에 질의를 보냅니다. 전 세계에 단 13개 세트만 존재하는 루트 서버는 도메인 확장자별(.com, .org, .kr 등) TLD 서버의 위치를 알려줍니다.

TLD 서버와 권한 있는 네임서버 연결
TLD 서버는 naver.com의 경우, .com을 담당하는 서버로부터 해당 도메인의 권한 있는 네임서버(Authoritative Name Server) 위치를 받아옵니다.

● 최종 IP 주소 반환
권한 있는 네임서버는 최종적으로 IP 주소를 반환하며, 이 IP가 웹 브라우저로 전달되어 접속이 이루어집니다.

3. DNS의 역사 – 이름을 부여받은 인터넷


1980년대 초반, 인터넷이 ARPANET이라는 이름으로 소수의 연구기관 사이에서만 사용되던 시절에는, 모든 도메인과 IP 매핑 정보를 HOSTS.TXT라는 텍스트 파일로 관리했습니다. 하지만 컴퓨터가 많아지고, 주소가 늘어나면서 이 방법은 한계에 부딪히게 되었고, 결국 1983년, 폴 모카페트리스(Paul Mockapetris)에 의해 DNS 시스템이 도입됩니다.

초기의 DNS는 단순한 계층적 구조였지만, 오늘날에는 글로벌 분산 시스템으로 발전해, 수십억 개의 도메인을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는 강력한 인프라로 자리 잡았습니다.

4. DNS와 보안 – 안전한 인터넷의 시작점
DNS는 인터넷 접속의 입구이기에, 해커들에게도 매력적인 공격 대상입니다. 대표적인 DNS 보안 위협에는 다음이 있습니다.

(1) DNS 스푸핑(DNS Spoofing)
악성 공격자가 DNS 응답을 위조해 사용자를 가짜 사이트로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bank.com에 접속했지만 실제로는 피싱 사이트로 연결되는 것이죠.

(2) DNS 캐시 포이즈닝(Cache Poisoning)
DNS 서버의 캐시에 악성 IP 정보를 주입해, 다수의 사용자를 잘못된 IP로 유도합니다. 피해 범위가 클 수 있어 과거 전 세계적인 해킹 사례도 존재합니다.

(3) DDoS 공격의 매개체
DNS 서버 자체가 공격 대상이 되거나, **DNS 증폭 공격(DNS Amplification)**을 통해 대규모 트래픽 공격의 통로가 되기도 합니다.

5. DNS 서버의 종류 – 어떤 DNS를 써야 할까?


우리는 흔히 통신사(ISP)에서 제공하는 DNS를 기본값으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공개 DNS도 존재합니다.

서버의 종류
서버의 종류


설정 방법 팁
윈도우, macOS, 스마트폰에서도 손쉽게 DNS 주소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특히 광고 차단, 피싱 방지, 속도 향상 등의 목적이라면 Cloudflare DNS나 OpenDNS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6. DNS over HTTPS/ TLS – 보안 강화를 위한 진화
기존의 DNS 질의는 암호화되지 않은 평문으로 전달되어 도청이나 위조 위험이 존재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 DoH (DNS over HTTPS)
DNS 요청을 HTTPS로 암호화해 전달합니다. 웹브라우저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SSL 보안 방식과 동일합니다.

● DoT (DNS over TLS)
DNS 요청을 TLS 프로토콜로 암호화해 보안성을 강화합니다. 통신 자체를 숨기기 때문에 보안 면에서 더 우수합니다.

대표적으로 Firefox, Chrome, Edge 등 최신 브라우저에서는 이미 DoH 설정이 가능하며, DNS 프라이버시 강화를 위한 국제적 흐름도 빠르게 진행 중입니다.

우리가 DNS를 잘 활용하기 위한 팁
우리가 DNS를 잘 활용하기 위한 팁


7. 우리가 DNS를 잘 활용하기 위한 팁


● 느린 인터넷의 원인, DNS일 수 있다 → Cloudflare(1.1.1.1)로 바꿔보세요.
● 광고 차단 및 자녀 보호 기능 활용 → OpenDNS 설정
● 보안이 걱정된다면 → DNS over HTTPS 활성화
●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이용 → DNSCrypt, NextDNS 등은 추가 보안 옵션 제공
이처럼 DNS를 '그냥 주어진 것'으로 생각하지 말고, 상황에 맞게 바꾸는 것이 우리의 인터넷 사용 경험을 한층 더 안전하고 빠르게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 DNS를 안다는 건 인터넷을 이해하는 첫걸음
DNS는 인터넷의 '주소 체계'를 유지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사용자는 단지 웹 주소를 입력할 뿐이지만, 그 뒤에는 전 세계에 걸친 거대한 서버 네트워크가 당신을 원하는 곳으로 안내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제 여러분도 DNS의 작동 원리, 보안 이슈, 그리고 활용법까지 이해하게 되었으니, 더 현명한 인터넷 사용자로 한 발짝 나아간 셈입니다.

단순한 ‘주소창 입력’이 어떤 기술 위에 서 있는지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인터넷 세계를 더 깊이 있게 바라볼 수 있습니다. 인터넷의 문을 여는 열쇠, DNS. 그 숨겨진 비밀을 알게 된 지금, 당신의 인터넷은 더욱 안전하고 스마트해질 것입니다.

 

다음 편 예고
우리가 알아야 할 IT와 인터넷 지식과 상식 시리즈 ⑥편: ‘쿠키, 캐시, 세션 – 당신의 브라우저는 무엇을 기억하고 있을까?’
웹사이트가 사용자 정보를 어떻게 저장하고 활용하는지, 그리고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필수 지식을 다룹니다.

 

 읽어 보시고 유익하시면 블로그 유지에 도움이 되도록 "구독(무료)"과 "공감"을 꼭 눌러 주세요.

 

출처
IETF DNS 표준 문서 (RFC 1034, RFC 1035)
Cloudflare 공식 블로그: https://blog.cloudflare.com
Google DNS 공식 페이지: https://developers.google.com/speed/public-dns
Mozilla Firefox DoH 설명서: https://support.mozilla.org
OpenDNS 소개: https://www.opendns.com


◆ 읽어 보시면 유익한 글

 

[남녀 청·장년을 위한 건강관리 시리즈 ⑥] 간 건강을 지키는 법 – 지방간·간염·음주 해독 완

지방간과 음주로 지친 간, 회복시키는 생활습관과 해독법 총정리1. 서론 – 침묵의 장기, 간을 돌아볼 시간 간은 흔히 ‘침묵의 장기’라고 불립니다. 통증 신경이 거의 없어 웬만한 손상이 오기

iallnet.tistory.com

 

생활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 시리즈 제5편-식재료별 냉동 보관법과 해동 꿀팁 총정리 – 식감 살

냉동보관, 제대로 알고 하자 – 식재료별 냉동·해동법으로 식감과 신선도 완벽 유지하기 냉장고 속 식재료를 오래 보관하려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 냉동보관을 떠올리게 됩니다. 하지만 무턱대

iallnet.tistory.com

 

마음을 울리는 시·수필·소설 추천 ④-시: 윤동주 「자화상」 / 수필: 장영희 「살아온 기적, 살

내면을 비추는 거울, 문학 속 자아의 여정 – 윤동주·장영희·오정희 작품으로 만나는 삶의 깊이삶의 한순간, 마음이 조용히 흔들릴 때가 있습니다.바쁜 일상 속에서는 쉽게 지나쳐버릴 감정들

iallnet12.tistory.com

 

2025 여행 준비 가이드 시리즈 ⑧ – 남미 자연·문화 탐험 루트 총정리 – 마추픽추부터 파타고니

남미 자연·문화 탐험 루트 총정리 – 마추픽추부터 파타고니아까지 2025 여행 플랜 서론: 왜 지금, 왜 남미인가? 남미는 단순한 여행지가 아닙니다. 이곳은 인류 문명의 뿌리와 자연

iallnet.tistory.com

 읽어 보시고 유익하시면 블로그 유지에 도움이 되도록 "구독(무료)"과 "공감"을 꼭 눌러 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