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우리는 매일 스마트폰과 컴퓨터로 인터넷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인터넷에서 내가 접속한 사이트가 내 기기를 어떻게 알아보는 걸까?”라는 질문을 던져본 적이 있으신가요? 이 물음에 대한 답이 바로 IP 주소(IP Address)입니다.
IP 주소는 마치 ‘인터넷 세계에서의 집 주소’와 같습니다. 이 주소가 없으면 데이터는 목적지를 잃고 길을 헤매게 되죠. 오늘은 이 IP 주소가 정확히 무엇인지, 어떤 종류가 있으며, 왜 중요한지에 대해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IP 주소란?
IP는 ‘Internet Protocol’의 약자입니다. IP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장치에 부여되는 고유한 식별자입니다. 우리가 누군가에게 편지를 보내기 위해 주소를 적듯,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선 정확한 ‘주소’가 필요합니다.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는 수많은 라우터와 서버를 거쳐 목적지로 이동합니다. 그 경로의 종착지를 가리키는 것이 바로 IP 주소입니다.
IPv4와 IPv6의 차이
◆ IPv4 – 지금까지의 표준
가장 흔하게 쓰이는 IP 주소 체계는 IPv4입니다. 예: 192.168.0.1
● IPv4는 32비트 주소로 구성되어 있어 약 43억 개의 주소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xxx.xxx.xxx.xxx 형식이며, 각 xxx는 0~255 사이의 숫자입니다.
● 가정용 와이파이 공유기 설정, 프린터 IP 설정 등 대부분 이 IPv4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인터넷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IPv4 주소는 점차 고갈되고 있습니다.
◆ IPv6 – 미래를 위한 새로운 주소 체계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이 IPv6입니다. 예: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
● IPv6는 128비트로 구성되어 사실상 무한에 가까운 주소 개수를 제공합니다.
● 보다 향상된 보안 기능과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기능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 다만 현재는 IPv4와 IPv6가 공존하는 과도기입니다.
공인 IP vs. 사설 IP
◆ 공인 IP(Public IP)
●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로부터 할당받는 외부 주소
● 인터넷 전체에서 고유해야 하며, 전 세계 어디서든 식별 가능
● 웹사이트나 서버를 운영할 때 사용
◆ 사설 IP(Private IP)
● 가정이나 회사 내부에서 내부 네트워크 식별을 위해 사용하는 주소
● 대표적인 사설 IP 범위:
● 192.168.0.0 ~ 192.168.255.255
● 10.0.0.0 ~ 10.255.255.255
● 172.16.0.0 ~ 172.31.255.255
● 여러 장치들이 같은 외부 IP(공인 IP)를 공유하며, 내부에선 각자 고유의 사설 IP를 가짐
※ 이 둘을 연결해주는 기술이 바로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입니다.
동적 IP와 고정 IP
◆ 동적 IP(Dynamic IP)
● 대부분의 가정은 이 방식을 사용
● 인터넷 연결 시 자동으로 IP가 할당되고, 주기적으로 변경됨
● 주소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 고정 IP(Static IP)
● 변하지 않는 고정된 IP 주소
● 웹 서버, 원격 접속 장비 등에 사용
● 보안적으로 취약할 수 있지만, 지속적인 접속에는 유리
IP 주소 확인 방법
1) PC에서 확인
● Windows: 명령 프롬프트 → ipconfig
● macOS: 시스템 환경설정 → 네트워크 → 활성화된 네트워크 클릭
2) 인터넷에서 확인
● Google 검색창에 “내 IP 주소” 입력
● https://whatismyipaddress.com 같은 사이트 활용
IP 주소의 보안적 의미
IP 주소는 단순한 주소가 아니라, 보안의 열쇠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 IP 차단: 특정 사용자나 해커의 접근을 제한
● IP 추적: 사이버 범죄 발생 시 수사 기관이 추적에 사용
● VPN 사용: 가상의 IP 주소로 바꾸어 프라이버시 보호
IP 주소 관련 오해와 진실
마치며
IP 주소는 우리가 무심코 사용하는 인터넷의 근간을 이루는 체계입니다. 집 주소가 없다면 우편물이 도착하지 않듯, IP 주소 없이는 그 어떤 데이터도 제자리를 찾을 수 없습니다.
기술이 아무리 발전하더라도, 가장 기본이 되는 ‘주소 체계’를 이해하는 것은 디지털 세계를 현명하게 살아가는 첫걸음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이 IP 주소와 함께 동작하는 DNS(Domain Name System)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읽어 보시고 유익하시면 블로그 유지에 도움이 되도록 "공감, 구독(무료) "을 꼭 눌러 주세요.
출처 및 참고 자료
IETF – Internet Protocol Standards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 IP주소 관리 가이드
Cloudflare 블로그 – IP Address Basics
WhatIsMyIPAddress.com
◆ 추천 블로그 A : https://iallnet.tistory.com/
[남녀 청·장년을 위한 건강관리 시리즈 ①] 30~50대를 위한 건강관리 첫걸음 – 내 몸 상태 점검법
1. 왜 지금, 건강을 돌아봐야 하는가? 우리는 하루하루를 바쁘게 살아가며, 건강은 ‘아프기 전까지’ 생각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건강은 예방이 전부라고 해도 과언
iallnet.tistory.com
◆ 추천 블로그 B : https://iallnet12.tistory.com/
매일성경 묵상과 삶의 적용-누가복음 20:1-18– 주님의 마지막 경고와 구원의 사랑
1.하루는 예수께서 성전에서 백성을 가르치시며 복음을 전하실새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장로들과 함께 가까이 와서 2.말하여 이르되 당신이 무슨 권위로 이런 일을 하는지 이 권위를 준 이가
iallnet12.tistory.com
♥ 읽어 보시고 유익하시면 블로그 유지에 도움이 되도록 "공감, 구독(무료) "을 꼭 눌러 주세요.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가 알아야 할 IT와 인터넷 지식과 상식 시리즈 ③-HTTP와 HTTPS 차이 완벽 정리 – 자물쇠 아이콘의 의미와 웹 보안의 모든 것 (5) | 2025.04.10 |
---|---|
우리가 알아야 할 IT와 인터넷 지식과 상식 시리즈 ② DNS란 무엇인가?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의 작동 원리와 인터넷 연결의 핵심 기술 완벽 해설 (1) | 2025.04.08 |
관세 전쟁이 흔든 AI 데이터센터 투자, 글로벌 기업들의 생존 전략은? (4) | 2025.04.05 |
2025년 앱 다운로드를 늘리는 비법: 앱 스토어 최적화(ASO) 완벽 가이드 (0) | 2025.04.04 |
2025년 AI & IT 행사 총정리 – 월드 IT 쇼부터 메타버스 엑스포까지 필참 전시회 (0) | 2025.04.02 |